교통혁명을 기대하며
(주)엔에스티의 첫 작품. 1997년 '교통혁명을 기대하며'
(주)엔에스티의 첫 작품. 1997년 '교통혁명을 기대하며' 이야기의 시작은 1996년 신문기사로부터 시작됐다.
당시 서울시장님이셨던 조순 시장님께서 남산터널에 교통료를 부과하며
'더 이상 제도로서는 교통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취지의 발언을 하셨다.
당시 대학 졸업반이었던 '기계공학'을 전공했을 뿐 교통과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었다.
당시 기사를 접한 후 '더이상 제도로서는'이라는 말에 상당한 관심과 '과연 그럴까?'라는 의문에 강하게 사로잡혔다.
며칠간의 고민 끝에 '교통문화를 바로 잡을 수 있는 교통제도'를 만들 수 있겠다는 확신이 들었다.
이후 3개월 여의 과정을 거쳐 탄생한 것이 바로 이 '교통혁명을 기대하며'란 논문이다.
국민제안대전 ‘우수상’ 수상!
논문은 당시의 교통문화와 제도를 검토한 후
운전자 스스로의 강한 책임감에 따른 운전을 제시,
전국민을 대상으로 ‘국민제안대전’에서 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주최: 비전코리아추진위원회 & 매일경제신문)
이 제도가 추구하는 목적은 다음의 4가지 특징적인 제도로 정리됩니다.
- 학원의 책임보증제도
- 교육운전자 등록제도
- 운전자별 다단계 등록제도
- 암행감찰제도
학원의 책임보증제도
학원의 책임 보증제를 실시함으로서, 운전을 배우려는 사람에게 자동차의 기초 이론부터 구조·운전기술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사항을 가르칩니다.
교육을 통해 무면허 운전자들을 구제할 수 있게 됩니다.
교육운전자 등록제도
운전을 시작한 초보 운전자들이 도덕적·정서적으로 안정된 올바른 운전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제도입니다.
운전자별 다단계 등록제도
운전자가 자신의 운전행위에 책임을 지게 하여, 운전자와 운전자·보행자 간의 신뢰를 회복하고,
음주운전자·난폭운전·뺑소니 등을 예방합니다.
사고를 일으킨 운전자에 대해 일정기간 전반적 교통사항까지 책임지도록 해
잘못된 습관의 재발을 최소화하며, 장기적으로 한국에 가장 적합한 교통문화를 창출하고자 하는 제도입니다.
암행감찰제도
사회에 만연한 불신의 장벽을 줄이고 인간성과 도덕성을 회복시켜, 헝클어진 교통문화를 바로 잡고자 하는 취지의 제도입니다.
(자세한 목적은 본문에 설명)
이 제도가 시행되어 우리 사회의 신뢰, 도덕성, 교통문화를 바로 잡을 수만 있다면 이 이상 더 바랄 것이 없습니다.